2025년 65세 이상 틀니 건강보험 적용 방법 및 본인부담금, 노인틀니 급여 신청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틀니 비용이 이렇게 많이 드는 줄 몰랐어요.” 65세 이상 어르신이라면 누구나 한 번쯤은 해보셨을 고민입니다. 실제로 완전틀니나 부분틀니는 평균 100만 원을 훌쩍 넘는 고가의 진료 항목입니다.
그런데 지원 조건과 주기를 잘 모르고 넘어가면, 무려 7년 동안 다시 혜택을 받을 수 없을 수도 있습니다. 지금부터 2025년 새롭게 달라진 틀니 건강보험 혜택과 함께, 지원 대상, 신청 방법, 본인부담금까지 꼼꼼하게 정리해드립니다.

1. 틀니 건강보험 적용 기준
- 연령 및 자격 : 만 65세 이상 국민건강보험 가입자, 피부양자 또는 의료급여 수급자
- 적용 틀니 종류:
- 완전틀니 : 치아가 전혀 없는 경우 (레진상, 금속상 틀니)
- 부분틀니 : 일부 치아만 남은 경우 (클라스프 고리형 금속상)
- 지원 주기 : 상·하악 각각 7년에 1회 (단, 분실·구강상태 급변 시 추가 1회 가능)
2. 2025년 주요 변경사항
- 특별재난지역 추가 지원 : 산불 등 특별재난지역 주민은 기간 제한 없이 추가 지원 가능
- 의료급여 2종 본인부담률 인하 : 기존 20% → 15%
- 사후 관리 확대 : 무상 유지보수 3개월 → 6개월 / 이후 1년까지 본인부담금 20%
3. 틀니 시술 비용 및 본인부담금
구분 | 전체 비용(평균) | 본인부담금(30%) | 의료급여 2종(15%) | 의료급여 1종(5%) |
---|---|---|---|---|
완전틀니 | 약 1,470,000원 | 약 440,000원 | 약 220,000원 | 약 75,000원 |
부분틀니 | 약 1,540,000원 | 약 460,000원 | 약 230,000원 | 약 77,000원 |
👉 정확한 본인부담금, 지원 가능 여부는 국민건강보험 공식 홈페이지에서 확인하세요.
4. 신청 방법 상세 안내
1. 치과 방문 및 진단 : 치과에서 틀니 필요 여부 진단 후 진단서를 발급합니다.
2. 대상자 등록 : 치과에서 공단에 대상자 등록 신청합니다.
3. 등록 결과 확인 : 치과에서 등록 여부를 통보해줍니다.
4. 틀니 제작 및 시술 : 본인부담금을 납부한 후 틀니를 제작합니다.
5. 사후관리 : 장착 후 6개월까지 무상 유지보수(진찰료만 부담), 이후 정기 점검을 받습니다.
👉 자세한 신청 절차와 서류는 [노인틀니 급여 안내 페이지] 에서 자세히 확인할 수 있습니다.
5. 주의사항 및 알아둘 점
- 7년 내 재지원 제한 : 원칙적으로 7년 내 재제작 불가(의학적 예외 가능)
- 병원 변경 불가 : 단순 변심으로는 병원 변경 불가
- 특수 틀니 제외 : 피개의치, 귀금속 재료, 어태치먼트 등은 비급여
- 정기 관리 필수 : 매일 세척, 물 보관, 정기 치과 방문 필요
- 임플란트와 중복 가능 : 틀니와 임플란트 건강보험 지원은 중복 가능
📞 국민건강보험공단 1577-1000으로 전화 상담도 가능합니다.
마무리하며
치아 건강은 단순한 외모를 넘어서 노후의 삶의 질을 결정짓는 요소입니다. 지금 당장 불편함이 없더라도, 미리 건강보험 틀니 혜택을 신청해두면 최대 7년 동안 비용 부담 없이 안정적인 치아 관리를 할 수 있습니다.
꼭 지금 시작하실 필요는 없습니다. 하지만 오늘 한 번만이라도 가까운 치과에 들러 상담을 받아보는 것, 그게 노후 준비의 첫걸음이 될 수 있습니다.
※ 이 글은 건강보험 틀니제도에 대한 정보 제공 목적이며, 실제 적용 여부는 개인의 건강 상태와 치과의 진단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 반드시 국민건강보험공단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 최신 내용을 확인해 주세요. 정보 전달만을 목적으로 하며, 법적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 더 많은 글을 보시려면 아래의 관련글을 참고해주세요.
financialfragrance에서 더 알아보기
구독을 신청하면 최신 게시물을 이메일로 받아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