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월세 한시 특별지원 모의계산 서비스 사용 방법(복지로, 마이홈포털)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높은 주거비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청년 여러분, 주목하세요! 정부에서 청년들의 주거비 부담을 덜어주기 위해 ‘청년월세 특별지원’ 사업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신청 전에 꼭 확인해야 할 것이 있습니다. 바로 모의계산 서비스를 통한 지원 대상 여부 확인입니다.
이 글에서는 청년월세 특별지원 모의계산 서비스 사용 방법을 단계별로 자세히 안내하고, 서비스 활용 팁까지 제공하여 여러분의 꿈의 집으로 한 발짝 더 가까이 다가갈 수 있도록 지원하겠습니다.
지금 바로 글을 따라 모의계산을 해보세요!

1. 복지로 청년월세 한시 특별지원 모의계산 서비스 사용 방법
복지로 홈페이지에서 청년월세 특별지원 모의계산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조회하신 결과는 단순 참고용으로만 활용 부탁드립니다. 실제로 선정 결과는 서비스를 신청한 후 확인 가능합니다.
1. 복지로 홈페이지에 접속합니다. 위 링크를 누르면 바로 이동 가능합니다.
2. [복지서비스] – [모의계산] – [청년월세지원]을 클릭합니다.

3. [주민등록상 출생년월일]을 입력합니다. 2024년에 19세~34세(1989년생부터 2005년생까지)가 되는 분들만 신청 가능합니다.

4. [부모와 동거여부]를 선택합니다. 별도로 거주해야만 신청 가능합니다. 임대차계약서 상 주소지로 전입신고가 필수입니다.
5. 청약통장 가입여부를 선택합니다. 청약통장에 가입하신 분 만 신청 가능합니다. 청약통장 종류 및 납입금액과는 무관합니다.
6. [혼인(이혼) 여부]를 선택합니다.
7. [국토부/지자체 청년월세 지원금 수혜 여부]를 선택합니다. 현재 지자체 또는 국토부에서 월세지원금을 받고 있지 않아야 합니다. 월세지원사업 1차에서 수혜를 받고 있다면 지원이 끝난 후 신청이 가능합니다.
다음은 국토부/지자체에서 시행중인 사업명입니다.
시도 | 사업명 |
---|---|
서울 | 청년월세지원 |
부산 | 청년월세지원 원거리 통학대학생 기숙사비 지원 무주택 청년부부 월세지원(부산진구) 동래학숙(동래구) |
대구 | 청년월세지원 중소기업 청년근로자 기숙사비 지원(달성군) |
인천 | 취창업 재직 청년 월세지원 |
대전 | 청년월세지원 |
울산 | 울산청년 드림스페이스 지원사업 청년가구 주거비지원 공공임대주택 거주 신혼부부 주거지원사업 |
세종 | 청년주거임대료 지원사업 |
경기 | 청년월세지원(수원,안양,평택,포천) 지역상생형 대학생 반값원룸사업(성남) 청년취업자 월세지원(파주) |
강원 | 도내 고교출신 도내 대학생 주거비지원 저소득층 대학생 주거비지원(철원) 대학생 거주공간 지원사업(화천) |
충북 | 청년월세지원(옥천,증평) 청년취업자,농업인 주거비지원(괴산) 전입대학생 기숙사비 및 주거비지원(괴산) |
충남 | 청년행복주거비(서천) 청년주택임대료지원(예산) 대학생 기숙사비지원(천안,청양) 중소기업 청년근로자 임차지원(청양) |
전북 | 군산STAY청년창업 주거지원(군산) 청년주거비지원(남원,진안,무안) 청년쉐어하우스(완주) |
전남 | 청년취업자 주거비지원 청년디딤돌 주거안정지원(고흥) 청년월세지원(곡성) 청년주거비지원(강진,해남,영암) |
경북 | 청년전입자 주택임차료지원(영양,상주) 청년주거비지원(문경) 진입 고등,대학생 기숙사비 지원(상주) 전입 대학생 기숙사비 지원(안동) |
경남 | 청년월세지원 청년주거비지원(창원) 청년귀농인 주거복지지원(창원) 전입대학생 기숙사비지원(거제) |
제주 | 일하는청년 보금자리지원 |
8. [청년가구원중 주택소유 여부]를 선택합니다. 청년독립가구 구성원중 주택을 소유하지 않은 분만 신청 가능합니다.
9. [임대차 유형]을 선택합니다. 공공임대는 신청 불가합니다.
10. [지원제외 주택 항목]을 선택합니다. 아래의 경우는 신청 불가합니다.
- 임대인(전대인)이 2촌이내 혈족
- 1실(방1개)에 다수가 거주하는 전대차
- 임차보증금 5천만원 초과
11. [임대차계약 방식]을 선택합니다. 전세인 경우 지원이 불가합니다.
- 월세/사글세/연세
- 보증부월세/반전세
12. [임차계약 임차료]를 입력합니다. (보증금, 월 임차료, 환산월임차료)
13. [가구원 정보]를 입력합니다. 청년가구와 원가구의 가구원수를 입력합니다.
- 청년가구 : 청년, 배우자, 직계비속, 동일 주소지에 거주하는 그 외 「민법」상 가족
- 원가구 : 청년독립가구, 1촌이내 직계혈족(부모)
14. 주거급여 수급여부를 선택합니다.
- 주거급여를 받는 경우
- 모의계산에서 소득재산조사는 생략됩니다.
- 청년주거급여 분리지급 신청 및 수령여부를 선택합니다.
- 주거급여를 받지 않는 경우
- 청년가구의 소득금액과 재산금액을 입력합니다.
15. [결과보기]를 클릭하면 지원받을 수 있는 금액이 자동으로 계산됩니다.
2. 마이홈포털 청년월세 한시 특별지원 모의계산 서비스 사용 방법
마이홈포털에서 청년월세 특별지원 모의계산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조회하신 결과는 단순 참고용으로만 활용 부탁드립니다. 실제로 선정 결과는 서비스를 신청한 후 확인 가능합니다.
1. 마이홈포털 홈페이지에 접속합니다. 위 링크를 클릭하면 바로 이동 가능합니다.
2. 화면 우측의 [청년,신혼부부 주거지원]을 클릭합니다.
3. 상단의 메뉴 중 [자가진단]에 마우스를 올린 후 아래의 [청년월세지원사업]을 클릭합니다.

4. 주민등록상 출생년도를 입력합니다. 2024년에 19세~34세(1989년생부터 2005년생까지)가 되는 분들만 신청 가능합니다.

5. 부모와 거주중인지 선택합니다. 별도로 거주하는 분만 신청 가능합니다.
6. 청약통장 가입여부를 선택합니다. 청약통장에 가입하신 분만 신청 가능합니다. 청약통장 종류 및 납입금액과는 무관합니다.
7. [혼인(이혼) 여부]를 선택합니다.
8. [국토부/지자체 청년월세 지원금 수혜 여부]를 선택합니다. 현재 지자체 또는 국토부에서 월세지원금을 받고 있지 않아야 합니다. 월세지원사업 1차에서 수혜를 받고 있다면 지원이 끝난 후 신청이 가능합니다.
9. [청년가구원중 주택소유 여부]를 선택합니다. 청년독립가구 구성원중 주택을 소유하지 않은 분만 신청 가능합니다.
10. [임대차 유형]을 선택합니다. 공공임대는 신청 불가합니다.
11. [지원제외 주택 항목]을 선택합니다. 아래의 경우는 신청 불가합니다.
- 임대인(전대인)이 2촌이내 혈족
- 1실(방1개)에 다수가 거주하는 전대차
- 임차보증금 5천만원 초과
12. [임대차계약 방식]을 선택합니다. 전세인 경우 지원이 불가합니다. [임차계약 임차료]를 입력합니다. (보증금, 월 임차료, 환산월임차료)
- 지원가능 임대계약 방식
- 월세/사글세/연세
- 보증부월세/반전세
13. [가구원 정보]를 입력합니다. 청년가구의 가구원수를 입력합니다.
- 청년가구 : 청년, 배우자, 직계비속, 동일 주소지에 거주하는 그 외 「민법」상 가족
14. 원가구 가구원수를 입력합니다.
- 원가구 : 청년독립가구, 1촌이내 직계혈족(부모)
15. 주거급여 수급여부를 선택합니다.
- 주거급여를 받는 경우
- 모의계산에서 소득재산조사는 생략됩니다.
- 청년주거급여 분리지급 신청 및 수령여부를 선택합니다.
- 주거급여를 받지 않는 경우
- 청년가구의 소득금액과 재산금액을 입력합니다.
16. [결과보기]를 클릭하면 지원받을 수 있는 금액이 자동으로 계산됩니다.
3. 청년월세 한시 특별지원 신청하기
모의계산 서비스를 사용하여 지원받을 수 있는지 확인 완료되면 신청을 진행하면 됩니다. 자세한 절차는 아래 글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마치며
청년월세 특별지원 모의계산 서비스는 신청 전에 꼭 활용해야 하는 필수 절차입니다. 이 글을 통해 모의계산 서비스를 사용하여 지원가능 여부를 확인하신 후 국토교통부에서 지원하는 월세지원 혜택을 받아 주거비 부담을 덜어보세요!
※ 이 글은 개인적인 관점에서 작성된 것으로, 주관적인 의견을 담고 있음을 안내드립니다.
※ 더 많은 글을 보시려면 아래의 관련글을 참고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