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가스 캐시백 신청 방법, 캐시백 지급일, 고객식별번호 상세 안내

도시가스 캐시백 신청 방법, 캐시백 지급일, 고객식별번호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최근 급격한 에너지 가격 상승으로 인해 도시가스비 부담이 커지고 있습니다. 요금 청구서를 보니 예상보다 훨씬 더 많이 나와서 놀라셨나요? 증가한 난방비 때문에 다른 지출을 줄여야 하는 상황에 놓인 분들도 많을 것입니다.

하지만 걱정하지 마세요! 도시가스 요금을 절감할 수 있는 좋은 방법을 소개하려고 합니다. 바로 도시가스 캐시백이라는 비용 절감 방법이 있습니다. 도시가스 캐시백은 사용한 가스 요금의 일부를 돌려받을 수 있는 혜택으로, 현명하게 활용하면 도시가스비 부담을 줄일 수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도시가스 캐시백 신청 방법부터 계좌 인증, 고객 식별번호 확인, 캐시백 지급일까지 자세하게 안내합니다. 또한, 도시가스 캐시백 관련 FAQ와 유용한 팁도 제공하여 여러분의 도시가스비 절감에 도움을 드리겠습니다. 도시가스 요금 부담을 덜어줄 수 있는 도시가스 캐시백, 지금 바로 알아보고 신청하세요!

도시가스 캐시백 신청 방법, 캐시백 지급일, 고객식별번호 상세 안내

1. 도시가스 캐시백이란?

1.1. 도시가스 캐시백

도시가스 캐시백은 한국가스공사에서 운영하는 동절기 도시가스 사용량 감축을 위한 제도입니다. 이 제도는 주택난방용 도시가스 요금제 사용자를 대상으로 하며, 동절기 (12~3월) 동안 전년도 사용량보다 3% 이상 절감하면 절감량에 따라 현금으로 돌려주는 제도입니다.

1.2. 혜택 및 장점

  • 경제적 혜택
    • 도시가스 요금 절감 : 전년 대비 3% 이상 절감 시 최대 12만 5천원 환급(자세한 사항은 아래의 2.4. 도시가스 캐시백 지급한도 참고)
    • 에너지 절약 : 에너지 효율 개선 및 탄소 배출량 감소를 통한 경제적 이익
  • 환경적 혜택
    • 지속 가능한 에너지 사용 : 에너지 절약을 통한 지속 가능한 에너지 사용 문화 조성
    • 탄소 배출량 감소 : 온실 가스 배출 감소 및 기후 변화 대응
    • 친환경 사회 구축 : 에너지 자원 보호 및 환경 보호 기여
  • 사회적 혜택
    • 에너지 절약 인식 제고 : 에너지 절약의 중요성을 인지하고 절약 실천 유도
    • 국민 참여 확대 : 다양한 계층의 참여를 통한 에너지 절약 효과 증대
    • 공동체 의식 함양 : 에너지 절약을 통한 공동체 의식 함양 및 사회 공헌

2. 도시가스 캐시백 대상 및 신청 자격, 지급한도(캐시백 지급기준)

도시가스 캐시백 대상 및 신청자격, 지급한도는 다음과 같습니다.

2.1. 도시가스 캐시백 대상

도시가스 캐시백은 ‘주택난방용 (개별난방/중앙난방)’ 도시가스 요금제 사용자를 대상으로 합니다. 즉, 개별 난방이나 중앙난방을 사용하는 주택난방용 도시가스를 사용하는 누구나 신청 가능합니다.

2.2. 도시가스 캐시백 신청자격

기존 사범사업일 때는 전년도보다 7% 이상 절감해야 캐시백 지급이 되었는데, 이제는 3% 이상만 절감해도 캐시백을 받을 수 있습니다.

2.3. 제외대상

다음과 같은 경우는 캐시백 지급대상에서 제외됩니다.

  • 전출, 전입, 명의변경 등으로 비교가 불가능한 경우
  • 주택난방용 이외에 타용도 요금제 (산업용, 업무난방용 등) 사용자
  • 신청자 (회원가입자)와 계약자 명의가 다르나 계약자 정보제공동의서를 미제출한 사용자
  • 도시가스사 또는 고객식별번호를 오기입하여 사용량 조회가 불가능한 경우

2.4. 도시가스 캐시백 지급한도

캐시백 지급은 10원 단위로 절사되며, 최대 지급 한도는 12만 5천원까지 받을 수 있습니다.

12만 5천원이 초과되면, 소득세법에 따라 지급액의 8.8%(지방소득세 포함)를 공제하여 지급됩니다.

2.5. 도시가스 캐시백 지급단가

절감량캐시백 지급단가
3% 이상 10% 미만50원/㎥
10% 이상 20% 미만100원/㎥
20% 이상 30% 미만200원/㎥

3. 신청기간 및 캐시백 지급일

3.1. 도시가스 캐시백 신청기간 및 전체 일정

신청기간 및 전체 일정은 다음과 같습니다.

항목내용
신청기간2023년 12월 1일 ~ 2024년 3월 31일 (4개월)
절감기간2023년 12월 1일 ~ 2024년 3월 31일 (4개월)
비교기간2022년 12월 1일 ~ 2024년 3월 31일 (4개월)
절감량 산정기간2024년 5월 ~ 6월
장려금 지급시기2024년 7월 ~ 8월

3.2. 도시가스 캐시백 지급일

  • 도시가스 캐시백은 2023년 12월부터 2024년 3월까지의 사용량을 기준으로 계산됩니다.
  • 지급 예정일은 2024년 7월부터 8월 중이며, 신청자의 계좌로 현금 지급됩니다.
  • 캐시백 금액이 125,000원을 초과하는 경우는 지급액의 8.8%를 공제한 후 지급됩니다.

도시가스 캐시백 지급일은 일반적으로 2024년 7월부터 8월 중으로 예상되지만, 실제 지급일은 변동될 수 있습니다. 이는 다양한 요인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신청자의 정보 확인 과정, 절감량 산정 기간, 그리고 각 도시가스 공급사의 내부 절차 등에 따라 지급일이 늦어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확한 지급일은 각 도시가스 공급사에 문의하시는 것이 가장 확실합니다.

4. 도시가스 캐시백 신청 방법, 계좌인증 방법

4.1. 도시가스 캐시백 신청 방법

도시가스 캐시백 신청 방법은 K-GAS 캐시백 홈페이지에서 신청할 수 있습니다.

K-GAS 캐시백 홈페이지 바로가기
  1. K-GAS 캐시백 홈페이지에 접속합니다. 위 링크를 클릭하면 바로 이동 가능합니다.
  2. 처음 이용 시 회원가입을 합니다. (고객번호 입력 필요)
  3. 약관 동의를 합니다.
  4. 본인인증을 합니다. 본인 휴대폰으로 문자를 받은 후 입력합니다.
  5. 회원정보 입력을 합니다. 아이디, 비밀번호 및 휴대폰 번호 입력합니다.
  6. 도시가스사 선택 후 계좌정보 입력(은행명, 계좌번호)을 합니다. 계좌인증이 실패하는 경우 아래의 “4.2. 도시가 캐시백 계좌인증 실패한 경우 조치 방법”을 참고해주세요.
  7. 회원가입이 완료되면 캐시백 신청이 자동으로 완료됩니다.

4.2. 도시가스 캐시백 계좌인증 실패한 경우 조치 방법

도시가스 캐시백 계좌인증이 실패한 경우, 다음의 조치를 취해보실 수 있습니다.

  • 계좌 정보 확인 : 입력한 은행명과 계좌번호가 정확한지 확인해주세요.
  • 예금주 확인 : 예금주는 홈페이지 가입자와 일치해야 합니다. 가입자의 이름과 계좌의 예금주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인증에 실패할 수 있습니다.
  • 다시 시도 : 인증 과정 중 일시적인 오류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잠시 후 다시 시도해보세요.
  • 고객센터 문의 : 계좌인증이 계속 실패하는 경우, 도시가스 캐시백 고객센터(02-6022-0905)에 문의가 필요합니다. 문의가능한 시간은 평일 10시~17시입니다.

5. 도시가스 고객식별번호 확인 방법

도시가스 고객식별번호, 또는 고객번호를 확인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 지류 고지서로 확인 : 도시가스 요금을 지불하는 지류 고지서에는 고객번호가 표시되어 있습니다. 도시가스사별 7~13자리 숫자로 되어 있습니다.
  • 지역 도시Gas 고객센터로 연락 : 도시가스 공급사의 고객센터에 전화하여 고객번호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 도시Gas앱에서 확인 : 도시가스 공급사의 모바일 앱을 통해 고객번호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6. 도시가스 고객센터 전화번호

도시가스 고객센터 전화번호는 다음과 같습니다.

도시가스사고객센터 전화번호
귀뚜라미 에너지1670-4700
강원도시가스033-258-8800
경남에너지055-260-4000
경동도시가스1577- 8181
군산도시가스063-440-7700
대륜E&S1566-6116
대성에너지(도시가스)054-850-1100
대화도시가스061-650-7700
목포도시가스1899-6390
부산도시가스1544-0009
삼천리(도시가스)1544-3002
서라벌도시가스1544-5916
서울도시가스1588-5788
미래엔서해에너지1577-6580
대성청정에너지054-850-1191(제1서비스 경북크린에너지)
054-850-1380(제2서비스 경도크린에너지)
영남에너지서비스 구미1599-5005
영남에너지서비스 포항1800-0098
예스코1544-3131
인천도시가스1600-0002
전남도시가스1599-0887
전북도시가스063-240-7700
전북에너지서비스1599-3833
JB(도시가스)1544-0041
지에스이055-945-0019
참빛도시가스1899-9100
참빛영동도시가스1899-9100
참빛원주도시가스1899-9100
참빛충주도시가스1899-9100
CNCITY에너지(도시가스)1666-0009
충청에너지서비스1599-3131
코원에너지서비스1599-3366
(주)해양에너지1544-1115
제주도시가스1600-3437
명성파워그린1899-9100

7. 도시가스 캐시백 관련 자주 묻는 질문 FAQ

Q1. 캐시백 신청을 따로 해야 하나요?
A1. 도시가스 캐시백은 한국가스공사에서 전국민을 대상으로 동절기 도시가스 사용량 감축을 위해 운영하는 제도입니다. 따라서 캐시백을 받기 위해서는 신청이 필요합니다.

Q2. 회원가입은 어떻게 하나요?
A2. 도시가스 캐시백 신청을 위해서는 한국가스공사의 회원가입이 필요합니다.

Q3. 회원가입시 본인인증을 꼭 해야하나요?
A3. 회원가입시 본인인증은 필수적인 절차입니다.

Q4. 회원가입하면 캐시백도 받을 수 있나요?
A4. 회원가입 후 도시가스 캐시백 신청을 하면, 전년도 사용량보다 3% 이상 절감하면 절감량에 따라 현금으로 돌려주는 제도입니다.

Q5. 고객식별번호는 어떻게 확인하나요?
A5. 고객식별번호는 도시가스 요금 청구서에 표기되어 있습니다.

Q6. 취사전용으로 도시가스를 이용하는데 캐쉬백 대상인가요?
A6. 도시가스 캐시백은 동절기 도시가스 사용량 감축을 위한 제도이므로, 취사전용으로 도시가스를 이용하는 경우에도 캐시백 대상이 될 수 있습니다.

Q7. 도시가스사/고객식별번호가 변경되었습니다.
A7. 도시가스사나 고객식별번호가 변경된 경우에는 새로운 정보로 캐시백 신청을 해야 합니다.

마치며

도시가스 캐시백의 혜택, 신청 방법, 계좌 인증 방법, 고객 식별번호 확인 방법, 캐시백 지급일 등을 상세하게 알아보았습니다. 도시가스 캐시백은 한국가스공사에서 운영하는 동절기 도시가스 사용량 감축을 위한 제도입니다. 이를 통해 가스 사용량을 줄이면, 절감량에 따라 현금으로 돌려받을 수 있습니다. 이는 우리 모두가 에너지 절약에 기여하고, 환경 보호에 동참할 수 있는 좋은 기회입니다.

간편하게 신청할 수 있고, 에너지 절약과 경제적 이익을 동시에 얻을 수 있는 도시가스 캐시백, 놓치지 말고 신청해서 혜택을 받아보세요!

※ 이 글은 개인적인 관점에서 작성된 것으로, 주관적인 의견을 담고 있음을 안내드립니다.

Home 화면으로 이동

※ 더 많은 글을 보시려면 아래의 관련글을 참고해주세요.


financialfragrance에서 더 알아보기

구독을 신청하면 최신 게시물을 이메일로 받아볼 수 있습니다.

종합소득세 환급일, 종합소득세 신청, 환급액, 세무 대행

error: Content is protected !!